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백질연화증 점검 방법
    건강 2017. 11. 7. 11:33

    태어나도 첫돌이 지나기 전에 직면하게 되는 문제가 뇌성마비입니다. 그리고 이는 다양한 원인의 복합증상군에 해당하여, 다양한 가능성이 있지만 주로 산모와 태아 그리고 출산일정 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백질연화증은 뇌의 안쪽에 위치한 대뇌수질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뇌성마비를 일으키는 핵심 증상인데요. 본문에서는 이런 문제가 일어나는 원인과 확진 그리고 사후 관리와 치료법을 정리하였습니다. 뇌는 여러가지 방식으로 분류하지만 크게 2가지, 백질과 회백질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둘 중에 어디가 손상이 되었느냐에 따라 간질인지 운동장애인지 여부가 달라지게 됩니다.




    ● 회백질과 백질 차이점


    회백질은 뇌의 외관을 둘러싼 대뇌피질을 말하며, 다양한 세포와 혈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외관상으로 약간 회색빛을 띄고 있는데요. 이곳에 이상이 생기면, 간질과 발작 그리고 정신지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면, 백질연화증은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이며, 운동장애인 뇌성마비가 생기게 됩니다.



    ● 원인 정리


    앞서 말씀드렸듯이, 발생이유는 다양합니다. 가장 빈번하고 비중을 많이 차지하는 것들을 출산을 중심으로 설명 드립니다. 첫번째는 아이를 낳기 전에 산모가 자궁내 감염이 발생했거나, 태아가 뇌출혈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더불어, 조산으로 인해 미숙아인 경우도 포함되는데요. 최근 연구에 따르면, 백질연화증의 요인 중 조산이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두번째는 출산중에 이른 시점에 양수가 파열되거나 허혈성의 뇌증이나 출혈로 인해 발생합니다.

    세번째는 아기가 태어난 뒤에 혈관질환이나 뇌막염 등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데요.

    가장 핵심은 32주 미만의 조산아이거나 태아에게 혈액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 보호자의 증상파악이 중요하다



    백질연화증으로 인해 아기는 3가지 문제에 직면하게 됩니다. 첫번째는 뇌성마비인데요. 초기에는 근육의 긴장도가 저하되는 증상이 발생하며, 점차 악화됩니다. 이 과정에서 갓난애는 자주울고 보채게되며, 발병시점으로부터 반년 정도가 되며, 하지에 강직성 마비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강직이라는 것은 빳빳하게 굳어진다는 것을 말합니다.



    두번째는 발달장애가 일어나게 됩니다. 여기에는 정신지체까지 포함되는데요. 가장 대표적인 운동발달의 경우에는 정도 차이가 있지만, 균형을 유지못해서 여기저기 부딪히는 경우가 많고 때로는 근긴장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을 수 있습니다. 아기는 손을 잘 못 펴거나 머리를 가누지 못할 수 있습니다.


    세번째는 행동적 문제인데요. 음식물을 못 넘기거나 침 흘리는 것을 제어할 수 없고, 배변조절도 비정상적으로 안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부분은 성인의 경우에는 발견하기 쉽지만, 갓난아기에게서 특징적인 징후를 찾아내기가 어려우니,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아서 조기에 문제를 찾고 진단을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 치료법: 조기발견 및 예방법


    연화증으로 인해 발생한 뇌의 손상은 되돌릴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근원적 문제해결보다는 보보적인 치료와 관리를 하게 되는데요. 가장 중요한 것은 합병증을 최소화하도록 관리하는 것입니다. 즉, 의사의 지침에 따라 아기환자가 운동력을 강화하기 위해 많이 뒤집고, 기어다니고 새로운 몸짓을 배우는 것을 꾸준히 시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특히, 관절을 매일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하여, 경직성을 풀어주어야 합니다.


    예방법은 산모의 몸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입니다. 다양한 영양분을 충분히 공급하고, 운동을 꾸준히 병행해야 합니다. 또한 풍진과 같은 예방주사(최소 3개월전)를 적정시기에 맞아야하며, 정기검사 주기를 정확히 준수하여 태아에게 발생하는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발달장애에 있는 아이들은 정상아이들처럼 운동하고 배우고 학습해야 합니다. 과잉보호로 인해 방치하게 된다면, 오히려 병을 악화시키고, 더딘성장을 더욱 저해할 수 있기 떄문입니다. 감사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 허탈 징후 정리  (0) 2017.11.09
    늑연골염 대처 방법  (0) 2017.11.08
    밀러피셔증후군 사례 정리  (0) 2017.11.06
    일과성 허혈성 발작 위험성 정리  (0) 2017.11.02
    레녹스 가스토 증후군 증상 정리  (0) 2017.10.31

    댓글

copyrights all rights reserved